Into the Brew: Amazing Brewing

This interview was originally conducted in Korean. We have taken the liberty to translate it to English. The original Korean transcript is available below.

 
Hi!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our readers and share a bit about your brewery’s history and vision.

In 2016, Amazing Brewing Company, which opened its first pub in Seongsu-dong, Seoul, where all the cafes that are popular among the 20-30 year olds are located, has also opened large stores in Seoul’s Konkuk University entrance, Jamsil, etc. In 2019, the company also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a 1,200 ton Brewing plant in Incheon, Gyeonggi Province. A tour of the brewing process and tasting freshly made beer are a must for beer lovers!

In addition, there are as many as 30 kinds of beer that are sold at Amazing Brewing Company’s pubs. Having such a variety of craft beers is based on our philosophy of how “craft beers must be diverse.” Here, we produce hand-made beers that follow the home-brewing method. We aim to maintain the concept of having an urban-style brewery with small-scale but diverse beer.

The motto of Amazing Brewing Company is “Taste,” which contains both meanings of flavor and preference. As what taste literally means, diversity must be a prerequisite in order to catch both flavor and preference, which is exactly why Amazing Brewing Company deals with various kinds of beer.

 

Why did you decide to join the craft beer movement in Korea? What were you doing before?

CEO Kim entered the path of craft beer in 2010 when he left to study in the U.S. There, he encountered more than 100 kinds of beer from all over the world. He also won the “Certified Cicerone,” a beer-certified sommelier in the U.S. After returning to Korea, he went to work and was known for being a beer maniac. He later changed his job after working in the Netherlands for six months. As he traveled to beer breweries in Belgium, Germany,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Netherlands, a “craft beer paradise,” he made a commitment to change the Korean liquor market at the time where there was only one type of beer, lager.

Prior to starting the brewery, CEO Kim gradua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degree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an MBA at the University of Northwestern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n, he has worked for P&G Korea and Bain & Company in both Seoul and Amsterdam.

 

Tell us a bit more about the Korean craft beer scene from your perspective.

Currently, convenience stores have a high proportion aside from other retail stores. Even large retailers, which once displayed dozens of craft beer, are on the decline. In the beginning, it was thought that the large discount store channels would continue to dominate the agricultural, fisheries, and meat products. However, the trend of buying fresh food products in large discount stores was taken away by online channels such as Market Kurly and Coupang. This trend will continue in the future. Liquor is also a fresh food after all. However, the current law prohibits the sale of alcohol online. It’s urgent to find a channel where we can deliver fresh beer to consumers.

Also, there is a limit to the ‘10,000 won ($10 dollars) for four cans’ sales method. There is no room for craft beers that are higher than 2,500 won ($2.5 dollars) per can at convenience stores. Among our products, there is no beer that can be sold at that price, so we even had to put out products with lower hop content that are exclusive for convenience stores. Even if we use expensive raw materials and brew high quality beer, we cannot get the price we deserve due to the distorted price policies. I think it is the biggest obstacle that prevents breweries from making premium craft beer. Why force 2,500 won ($2.5 dollars) per can of beer when even the price of water varies widely from brand to brand?

 

How do you think Korean craft beer currently compares to craft beer from other countries globally and in the region?

It can be said that Korean craft beer was born around U.S. soldiers stationed in Korea, their families, and native English teachers living in Korea. One can say that the beginning of Korean craft beer started in the pubs in Itaewon, where they often gathered. As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are developed in Korea and more than 50 percent of the total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Seoul, trends spread very fast and the intensity of competition is high. Perhaps that’s why the craft beer industry, which began with a law revision in 2015, has been able to grow at a dazzling pace in just five years.

 

What do you think will take Korean craft beer to the next level?

Above all, it’s the price. In Korea, the market for imported beer has expanded rapidly over the past 20 years. The “4 cans, 10,000won ($10 dollars)” promotion, led by Asahi, Tsingtao, and Heineken, has lasted so long that the Korean consumers have a deep-rooted perception that beer costs 2,500 won ($2.5 dollars) per can. So there are many consumers who hesitate about drinking high-quality products at higher prices.

 

If you were to develop a uniquely Korean craft beer style for other countries to follow, what might it be?

Korea is a place where fermentation technology is developed, and we should make good use of this. Korean kimchi and soybean paste are also products of the fermentation technology. Since there are a variety of native yeast in Korea, there is a lot of room to apply these into beer in the future. It is also important that we can use rice or fruits from different regions. Rice is expected to be highly utilized in the future not only because it can lighten the body in beer and make it more drinkable, but also because it is a raw material familiar to consumers in Asia.

 

How do you envision Korean craft beer shaping Korea’s cul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military dictatorship, Korean culture mainly focused on uniformity rather than diversity. They did not respect diversity and individual tastes. There was also a culture of just drinking whatever the boss orders, but this culture has been gradually weakening with the recent spread of craft beer.

 

How do you think the craft beer scene in Korea will change over the next 5-10 years?

It is expected to grow more than 10 times in five to ten years. And perhaps the status of Korean beer in Asia will be much higher than it is now. The consumption culture of Korean music, movies, and cosmetics is gaining recognition in Asia, and Korean alcohol alone is not up to the status of the other parts of Korean culture.

 

Can you share a bit about your process in developing new beers?

There are many homebrewers in Amazing who freely come up with ideas and develop beer. We decide whether to increase production or not after we sell it in small quantities at our brewpub.

 

What do you think makes your brewery stand out in the growing market? 

Amazing Brewing Company, a craft beer company, joined hands with CJ Korea Express last year to start distributing cold chains nationwide. The company has established a new-day delivery system for freshly produced beer with low temperature storage and refrigerated vehicles that can be transported. “Alcohol is fresh food,” he said. “It takes less than three weeks for our beer to run out of stock from the factory to the store, so we can enjoy the best taste. Also, it is a special feature that the company is trying to make changes in sales methods such as delivery, smart order, and online payment so that customers can enjoy the good atmosphere and excellent taste experienced in the store even when they are at home.

 

What is your favorite beer that your brewery brews?

First Love IPA.
First Love IPA won the Best of 2020 and the Grand Prize in this year’s liquor grand prize, Craft Beer Ale category. More than half a million cups were sold among beer lovers without much marketing.
First Love is an IPA line of beer. IPA is the most popular craft beer in the U.S., and First Love is the Hazy IPA, which is one step further than IPA. ‘Hazy’ means turbid. The beer color is more murky because there are more hops than regular IPA. The color is as murky as a fruit juice because of the added amount of hops, but also because of the addition of wheat and oats. Oats have a lot of protein, so the color of the beer becomes cloudy, but instead it tastes sweet. Wheat was also added for the same reason, to give the beer a slightly sweet taste.

 

What is your favorite craft beer not brewed by your brewery?

Personally, I like Gueuse of 3 Fonteinen (Belgium). I’ve done a tour of the brewery and drank it myself, and it was the most delicious beer I’ve ever had in my life.

 

Thank you for joining us! Please share any last words you might have with fans of your beer overseas.

If you ever come to Seoul after the coronavirus pandemic is over, make sure to visit the Amazing Brewing Company’s Seongsu branch. There are over 60 various kinds of beer.

안녕하세요! 독자들을 위해서 자신의 브루어리에 대한 역사와 비전에 대한 설명 부탁합니다.

2016년, 20~30대 감성의 카페들이 몰려 있는 서울 성수동에서 1호 펍을 연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는 현재 서울 건대입구, 잠실 등에도 대형 매장을 오픈했다. 2019년에는 경기도 이천에 연산 1200톤 규모의 브루잉 공장도 완공하였다. 양조과정 견학과 갓 만든 맥주를 시음하는 투어코스는 맥주 덕후들의 필수 코스!

뿐만 아니라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의 펍에서 취급하고 있는 맥주의 종류는 무려 30가지나 된다. 이 같이 다양한 수제맥주를 선보이는 것은 ‘수제맥주는 다양해야 한다’는 어메이징의 철학에 따른 것이다. 이곳에서는 사람손이 가는 홈브루잉 방식의 수제맥주 제조를 고수한다. 도심형 다품종 소량생산 맥주 브루어리의 콘셉트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어메이징 브루잉 컴퍼니의 모토는 맛과 취향이라는 중의적 의미를 지닌 ‘테이스트(Taste)’다. Taste (테이스트)의 뜻 그대로 맛과 취향 두 가지를 모두 잡으려면 우선 다양성이 전제돼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맥주를 취급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에서 수제 맥주 브루어리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브루어리를 하기 전에는 무슨 일을 하셨나요?

김 대표가 수제맥주의 길로 들어선 계기는 2010년 미국 유학을 떠나면서 부터다. 그는 그곳에서 100여 가지가 넘는 세계 각지의 맥주를 접했다. 본격적으로 맥주를 즐기면서 미국에서 와인의 소믈리에 격인 맥주 자격증 시서론(Certified Cicerone)도 따냈다. 귀국 후에 직장을 다니면서 ‘맥덕(맥주 덕후)’을 자처하던 그는 6개월 간 네덜란드에 주재원 근무를 갔다가 아예 업을 바꿨다. ‘수제맥주 천국’인 네덜란드를 비롯해 벨기에·독일 등지의 맥주 양조장을 누비면서 다짐했다. ‘라거 한 종류만 팔고, 마시는 우리나라 주류 시장을 바꿔보자’고.

브루어리를 하기 전에는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 하고,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에서 MBA를 했다. 이후 한국 P&G, 베인앤컴퍼니(서울 및 암스테르담 근무)에서 10년간 근무했다.

 

한국 수제 맥주 시장에 대한 개인적인 소견을 말씀해 주세요.

현재로선 소매점을 제외하곤 편의점 비중이 높은 편이다. 한때 수십 가지의 수제맥주를 진열하던 대형마트마저 사양세이다. 창업 당시만 해도 다른 건 몰라도 농수산물·정육과 같은 신선식품 구입에서 만은 대형마트 채널의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 여겼다. 그러나 그조차 마켓컬리나 쿠팡과 같은 온라인 채널에 뺏겼다.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이다. 주류도 결국엔 신선식품이다. 그러나 현행법상 온라인에서 주류 판매가 금지돼있다. 신선한 맥주를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네 캔에 1만원’이라는 판매방식에 한계가 있다. 편의점에서 한 캔에 2500원 이상인 수제맥주가 설 자리가 없다. 우리 제품 중에선 그 가격에 팔 수 있는 맥주가 없어 홉 함유량을 낮추는 방식으로 편의점 전용 상품을 내놨을 정도다. 아무리 고가의 원료를 쓰고, 품질을 높여도 왜곡된 가격정책으로 인해 제 값을 받을 수가 없다. 수제맥주의 프리미엄화를 막는 최대 걸림돌이라고 생각한다. 물도 브랜드마다 가격이 천차만별인데 왜 유독 맥주만 한 캔에 2500원을 강요하는가?

 

한국 수제 맥주가 다른 나라의 수제 맥주와 다른 점이 무엇인가요?

한국의 수제맥주는 한국에 주둔해 있는 미군들과 그들의 가족들, 그리고 한국에 살고 있는 원어민 영어교사 등을 중심으로 태동했다고 볼 수 있다. 그들이 자주 모이는 이태원을 중심으로 펍이 발달했던 것이 시초였다. 한국은 제조업과 유통이 발달하고 서울과 그 인근에 전체 인구의 50% 이상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유행의 전파속도가 빠르고, 그만큼 경쟁의 강도도 높다. 그래서인지 2015년에 법개정으로 시작된 수제맥주 산업이 불과 5년만에 눈부실 만큼 빠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다.

 

한국 수제 맥주의 어떤 점을 개선하면 좋을 것 같나요?

무엇보다 가격이다. 한국에서는 지난 20여년 동안 수입맥주 시장이 급속도로 팽창했다. 아사히, 칭따오, 하이네켄 등이 주도하면서 ‘4캔만원’ 프로모션을 너무 오랫동안 지속한 나머지 한국 소비자들의 마음 속에는 맥주는 한 캔에 2500원이라는 인식이 너무나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좋은 퀄리티의 제품을 더 높은 가격에 마시는 것에 대해서 주저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다른 나라들도 즐길 수 있는 한국만의 독창적인 수제 맥주 문화를 개발할 수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한국은 발효기술이 발달한 곳이며, 이 점을 잘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한국의 김치나 된장은 발효기술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한국에는 다양한 토종효모들이 존재하므로 앞으로 맥주에 적용할 수 있는 여지가 무궁무진하다. 쌀이나 지역에서 나오는 과일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쌀은 맥주에서 바디감을 가볍게 만들고 음용성을 좋게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시아권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원재료이기 때문에 향후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수제 맥주가 한국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 같나요?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배와 군부 독재 시절을 겪으면서 다양성보다는 획일성 위주로 문화가 형성되었다. 다양성과 개개인의 취향을 존중하지 않았다. 술 문화에서도 가장 상급자가 주문하는 술을 모두 따라서 마시는 문화가 있었는데, 최근에 수제맥주가 보급되면서 이런 문화가 조금씩 약해지고 있다.

 

한국 수제 맥주의 시장이 5-10년 후에는 어떻게 바뀌어 있을 것 같나요?

5-10년 후에는 지금보다 10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아마도 아시아권에서 한국 맥주의 위상이 지금보다 훨씬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한국의 음악, 영화, 화장품 등 소비 문화가 아시아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데, 유독 한국 술만은 그러한 한국문화의 위상에 못 미치고 있다.

 

새로운 맥주를 개발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을 해 주실 수 있나요?

어메이징에는 많은 홈브루어 출신 양조사들이 있으며, 이들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서 맥주를 개발한다. 그리고 우리 브루펍에서 소용량으로 만들어서 판매를 해 본 후에 더 증산을 할지 말지에 대해서 판단한다.

 

지금 성장하는 수제 맥주의 시장에서 자신의 브루어리의 특별한 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수제맥주업체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는 지난해 CJ대한통운과 손잡고 전국 콜드체인 유통을 시작했다. 저온보관과 운송이 가능한 냉장차량으로 갓 생산한 맥주의 익일 배송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술은 신선식품”이라며 “우리 맥주는 양조장에서 출고부터 점포에서 소진하는 데까지 3주가 채 걸리지 않아 최상의 맛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매장에서 경험한 좋은 분위기와 뛰어난 맛을 집에서도 즐길 수 있게끔 배달·스마트오더·온라인 결제 등 판매 방식에 있어서 변화를 꾀하고 있는 것도 특별한 점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이 브루어리에서 만든 맥주 중에 개인적으로 무엇을 제일 좋아하시나요?

첫사랑 IPA

첫사랑 IPA는 어메이징 브루잉 컴퍼니를 대표하면서 올해 주류대상 크래프트 맥주 에일 부문에서 Best of 2020과 대상을 받았다. 별다른 마케팅을 하지 않은 상태로 맥주 애호가들 사이에서 50만잔 이상 판매되었다.

첫사랑은 IPA 계열의 맥주다. IPA는 미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수제맥주인데, 첫사랑은 IPA보다 한단계 더 진화한 헤이지(Hazy) IPA다. ‘헤이지’는 탁하다는 뜻이다. 일반 IPA보다 홉을 더 많이 넣어 맥주 색상이 더 탁하다. 과일 주스처럼 색이 탁한 것은 홉을 많이 넣은 때문이기도 하지만, 밀과 귀리가 첨가됐기 때문이다. 귀리에는 단백질이 많아 맥주 색깔이 탁해지지만, 대신에 단맛을 낸다. 밀도 약간 달달한 맛을 내려고 넣었다.”

 

다른 브루어리에서 만든 맥주 중에 개인적으로 무엇을 제일 좋아하시나요?

개인적으로는 3 fonteinen (벨기에) 의 Gueuze 를 가장 좋아한다. 직접 양조장 투어를 하고 마셔본 적이 있는데, 태어나서 마셔본 맥주 중에서 가장 맛있는 맥주였다고 말할 수 있다.

 

성실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각국에 있는 수제 맥주 팬들에게 하실 말씀이 있으신가요?

코로나19가 끝나고 서울에 오실 일이 있으시면 꼭 어메이징브루잉컴퍼니 성수점을 방문해보세요~ 60종류에 달하는 다양한 맥주가 있습니다.

Sharing is caring!

Share on facebook
Share on whatsapp
Share on telegram
Share on twitter
Share on red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