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nterview was originally conducted in Korean. We have taken the liberty to translate it to English. The original Korean transcript is available below.
Hi! Please introduce yourself to our readers and share a bit about your brewery’s history and vision.
Kabrew is a leading craft beer company in Korea that started in February 2000 and has been introducing various styles of beer for over 20 years. Kabrew is one of the first generations of Korean craft beer and has been part of the Korean craft beer industry from the very beginning when there were only four beer brewing facilities in Korea. We even produced for the Canadian beer brand ‘Alley Kat’ in 2005 and introduced ‘Pale Ale’ to Korea for the first time.
In 2015, Kabrew was acquired by ‘Jinju Ham,’ a Korean mid-sized food company, and started to grow in size. Since then, the company has built two more breweries with modern facilities, which expanded the production capacity by five times. It has also continued to develop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by expanding its canned beer lineup and continuing to win both domestic and foreign awards. In 2024, we expect the Korean craft beer market to become a 250 million-dollar market (300 billion won), accounting for 6 to 7 percent of the total beer market.
Kabrew aims to grow an annual average of nearly 60 percent and become the No. 1 craft beer company by 2024. The company name ‘KABREW’ means ‘Korea Advanced Brewery’. The name, which emphasizes our traditional values and our mission to become the best in the field, reflects our responsibility to lead the industry as a first generation craft brewery and the determination to preserve the taste and quality of beer in the face of expanding business.
Why did you decide to join the craft beer movement in Korea? What were you doing before?
I am also the representative of Jinju Ham, a meat processing food company that sells sausages, etc. The acquisition of craft beer was due to the growth and charm of the craft beer industry itself, rather than its synergy with Jinju Ham. When I first started working at Jinju Ham, I had acquaintances who recommended opening a restaurant (especially a pub selling ham and beer) to improve the old image of Jinju Ham that has been maintained over 50 years. However, I was hesitant to open a restaurant because I thought Jinju Ham did not have any core competency in the restaurant industry.
Luckily, I got a proposal to meet a company that supplied beer to a craft beer pub that was trendy at the time. Later, I met the founder of Kabrew, and it opened my eyes to the potential growth of craft beer. I decided to take over Kabrew for the potential growth and charm of the craft beer industry itself, rather than its synergy with Jinju Ham. When ‘Jinju Ham’ took over Kabrew in 2015, it was the very beginning of the craft beer industry, and Kabrew was a prominent player in the market. Therefore, I believed that Kabrew would continue to stay as one of the leading companies as the craft beer industry grows.
Tell us a bit more about the Korean craft beer scene from your perspective.
The domestic craft beer market, which has been growing at an annual average rate of nearly 40 percent for the past few years, have been making huge changes since 2019. The market still grew by nearly 30 percent in the previous year, but the retail market grew by a large margin instead of the bar & nightclub industry, which was what led the growth of the Korean craft beer industry so far.
There may be many reasons for this change, but I think there are two main reasons. The first is the contraction of consumer sentiment caused by the recession that many people are feeling. But what’s more important is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drinking culture centered around the younger generation. In other words, the culture of drinking has changed a lot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Leaving work early to watch Netflix alone while drinking beer and HMR products that were bought at convenience stores has become the new drinking trend. This is leading to the reduction of the bar & nightclub industry and the growth of the retail market in line with social changes such as the reduction of the 52-hour workweek and the reduction of company dinners.
I think this change will be more explosive due to the conversion of liquor tax that took effect earlier this year. As the liquor tax imposed on craft beer decreases, the price of craft beer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which will make it more appealing to the general public. In fact, this year, convenience stores and supermarkets have s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ales of craft beer due to promotions of 3 or 4 cans per 10,000 won ($10 dollars) have been carried out based on lower taxes.
How do you think Korean craft beer currently compares to craft beer from other countries globally and in the region?
Water is the biggest raw material that accounts for more than 80% of the beer components. I’m sure every brewery uses clean and refined water that fits their own brewing style, but Korea, in particular, is known for its clean water. Kabrew has a brewery in Cheongpyeong, Gapyeong, which is a region in Korea that provides the drinking water source for 9.7 million Seoul citizens; we use this water to brew the cleanest beer.
In addition, we are putting a lot of effort into creating new beer using specialty products from various parts of Korea. Kabrew is brewing experimental beer using Gapyeong’s specialty grapes and pine nuts, and has already produced some for commercial use. Like Kabrew, most of Korea’s breweries are actively utilizing local specialties, which makes Korean craft beer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craft beer.
What do you think will take Korean craft beer to the next level?
I would like to talk more about the system than the quality and taste of beer. Kabrew continues to produce canned products and try to export our goods, but in fact, there are no large-scale exports. The important lesson we learned was that Kabrews’s products are still far from competitive in price to explore the export market meaningfully.
Based on this experience, we have decided that Korean craft beer, including Kabrew, needs two major prerequisites to enter the global market in earnest. The first is to have automated facilities plants to compete in the global market. Secondly, the Korean craft beer market needs to grow more in order to gain its recognition in the global market. This will secure brand power and allow Korean craft beer into a product that foreign buyers want to import.
Of course, we will continue to make efforts to export our craft beer, but we believe that it will take about two to three more years for Korean breweries, including Kabrew, to have stable, full-scale exports.
If you were to develop a uniquely Korean craft beer style for other countries to follow, what might it be?
One of the drinking cultures developed in Korea is ‘Banju’. Just as pasta is often served with wine, in Korea, we eat pork belly with soju and chicken with beer. If you enjoy strong-flavored food such as marinated ribs, you can pair them with IPA-based craft beer, and for mildly-flavored food like bulgogi, I recommend you to pair it with pilsner beer. With Korean craft beer and Korean food, you can enjoy Korean culture even from afar.
How do you envision Korean craft beer shaping Korea’s culture?
As the Korean beer market grows, it seems to be spreading the ‘diversity’ of beer to consumers. In Korea, beer has been consumed mainly by lagers made by large companies, and it has been common to drink them with food or mix them with soju.
Recently, however, craft beer companies have produced a wide variety of beer styles, including IPA, Pale Ale, and Stout, and have tried brewing various kinds of beer using local agricultural products. This variety gives consumers the pleasure to pick and choose according to their taste.
As more and more people are looking for craft beer, and as the demand for various beer increases, tap-room pubs where you can meet various beers in one place and brewpubs where you can enjoy fresh beer brewed directly on site have emerged. Additionally, beer has gone beyond the food culture but created its own, which can be found in the “Beer Festival” where one can enjoy beer exclusively. If beer was considered just another alcoholic beverage in the past, now beer is something more special than that. It is now an era where people “enjoy beer,” rather than considering it as just one of the options of alcoholic drinks.
How do you think the craft beer scene in Korea will change over the next 5-10 years?
As I said earlier, we believe that the retail market will lead to the growth of the craft beer market for the time being. Also, I think the easing of the liquor tax law will lead to the emergence of a variety of craft beers with price competitiveness.
We believe that the craft beer market will grow at least 30% annually over the next five years even if the market is conservatively held. If the expected growth is achieved, craft beer will create a 250 million-dollar market (300 billion won) in 2024, accounting for 6 to 7 percent of the total beer market. In the U.S., BA’s statistics show that craft beer accounted for 24 percent of the total market as of 2018. Considering this fact, accounting for six to seven percent of the market in five years is quite conservative. I personally think we can grow to nearly 10 percent.
Can you share a bit about your process in developing new beers?
It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duct (can/keg), and also different from product to product, but it basically goes through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type of new beer & its concept after reading the new trend of the market -> Home Brewing -> Testing -> Enterprise Testing -> Bulk brewing and launching, etc.
When we are collaborating with another company, we discuss the type and concept of the beer, and it is usually decided through discussions with the representatives of the BM part of the company. Homebrewing and testing (tasting) may occur several times depending on the feedback. KEG beer will be launched through a brewpub in Seoul, and beers with good feedback from the market will be mass-produced at its factory in Gapyeong. CAN will be mass-produced after we decide the initial quantity and where we are going to sell the beer, which will be decided through the process of offering/testing to distribution channel officials.
What do you think makes your brewery stand out in the growing market?
Kabrew is a first-generation craft beer brewery that was here from the very beginning of Korean craft beer. Also, there were active investments starting from 2015, which allowed Kabrew to expand pretty big and maintain a stable system. In addition to building two breweries that are capable of producing KEG and CAN beers, we have also made continuous efforts in terms of product quality, including obtaining the industry’s first HACCP certification, establishing a nationwide cold chain logistics network, and operating a QC (Quality Control) system.
In terms of products, I would like to talk about diversity. Since the beginning of its business, we had about 10 different beer lineups and currently there are about 20 lineups. We have always considered the “diversity” of craft beer as a key identity of Kabrew. Kabrew’s logo, “Kumiho,” is a mysterious animal that can freely transform into different things. Just like our logo, we are constantly striving to make creative and new beer. Also, we are actively investing in R&D. We established a mini brewery in Seoul with a research team and provided them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make various beers to keep up with the changing beer trends and seasons.
What is your favorite beer that your brewery brews?
Kabrew’s beers are all wonderful beers for me, so it’s hard to pick one. However, after I started the beer business, I tried to find out what my favorite taste or style was, and it was a fun experience. Through that process, I found out that I like the bitter taste of beer, but not when it’s bitter at the end, and that I prefer pale ale over wheat beer.
What is your favorite Korean craft beer not brewed by your brewery?
I’d like to tell you in advance that this is my personal opinion. There is a beer called ‘Porter’ in Whasoo Brewery in Ulsan, and I recommend it to those who like a heavy body and a clean aftertaste.
Thank you for joining us! Please share any last words you might have with fans of your beer overseas.
“Korean craft beer” may still be unfamiliar, but there are many Korean craft beers that have been recognized for their taste and quality and won gold medals in leading overseas competitions such as “European Beer Star” and “International Beer Cup.” Kabrew’s IPA was also the first Asian winner of the 2017 European Bear Star Trademark IPA.We will continue to make more delicious and diverse beers. I hope you experience the pleasure of tasting new craft beers with Kabrew, just like the first time you came across K-POP.
안녕하세요! 독자들을 위해서 자신의 브루어리에 대한 역사와 비전에 대한 설명 부탁합니다.
카브루는 2000년 2월 시작된 국내 대표 수제맥주기업으로 20여 년간 직접 제조한 다양한 스타일의 맥주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수제맥주의 1세대라고 할 수 있는 카브루는 한국에 맥주 양조 시설이 4개뿐이었던 태동기부터 대한민국 수제맥주 산업의 성장과 함께해왔습니다. 특히, 2005년에는 캐나다 맥주 브랜드 ‘앨리캣(Alley Kat)’을 직접 제조, 한국에 ‘페일 에일’을 처음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카브루는 2015년 이후 한국의 중견식품기업인 ‘진주햄’에 인수되며 소규모 브루어리에서 수제맥주 전문 회사로의 발돋움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현대적 설비를 갖춘 2개의 브루어리를 추가로 건설해 생산 능력을 5배 확대했고, 캔맥주 라인업 확대와 국내외 맥주 품평회 출품&수상을 이어가며 외,내형적 발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저희는 한국 수제맥주 시장이 2024년에 약 30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하며 전체 맥주시장의 6~7%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카브루는 이렇게 성장하는 수제맥주 시장 내에서 연평균 60% 가까이 성장하여 2024년에 확고한 1등 수제맥주회사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업명인 ‘카브루(KABREW)’는 ‘Korea Advanced Brewery’를 의미합니다. 전통과 최고를 강조하는 이름에는 1세대 크래프트 브루어리로서 업계를 선도해 나가겠다는 책임감과 사업 규모가 확장되는 상황 속에서도 맥주의 맛과 품질을 지켜나가겠다는 의지가 담겨있습니다.
한국에서 수제 맥주 브루어리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브루어리를 하기 전에는 무슨 일을 하셨나요?
저는 소시지 등을 판매하는 육가공식품기업 ‘진주햄’의 대표이기도 합니다. 수제맥주를 인수했던 것은 진주햄과의 시너지 보다는 수제맥주 산업 자체의 성장성과 매력에 더 주목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제가 진주햄에 처음 근무하기 시작했을 때 50년이 넘은 진주햄의 올드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요식업 (특히 햄맥을 파는 펍 등)을 권유하는 지인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요식업은 진주햄이 핵심역량을 가진 부분은 아니라 판단하여 망설이던 차에, 그 당시 트랜디한 수제맥주 펍에 맥주를 공급하는 회사를 소개해 주겠다는 제안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후 카브루 창업자 분을 만나 이야기 나누면서 수제맥주의 성장잠재력에 눈을 뜨게 되었고, 이에 진주햄과의 시너지 보다는 수제맥주 산업 자체의 성장성과 매력에 더 주목하여 인수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2015년 진주햄이 카브루를 인수할 당시 수제맥주 산업은 막 태동기에 있던 상황이었고, 카브루는 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업체였기에 향후 수제맥주 산업이 성장할 경우 선도업체로 키워낼 수 있으리라 판단했던 것이지요.
한국 수제 맥주 시장에 대한 개인적인 소견을 말씀해 주세요.
지난 수 년간 펍/레스토랑 같은 유흥시장을 중심으로 연평균 40%에 가까운 성장세를 보이며 크게 성장해 오던 국내 수제맥주 시장은 2019년부터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전년도에도 여전히 30% 가까이 시장은 커졌으나, 지금까지 성장을 이끌던 유흥시장은 거의 성장하지 못하고 소매시장이 크게 성장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지요.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저는 크게 2가지 요인이 작용했다고 생각합니다. 첫째는 많은 사람들이 체감하고 있는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의 위축입니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부분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음주문화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일찍 퇴근해서 편의점에서 산 맥주와 HMR제품을 먹으며 넷플릭스를 보는 젊은층들의 혼술 / 홈술 문화가 주당 52시간 근무제와 회식의 감소 같은 사회적 변화와 맞물려 유흥시장의 축소, 소매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다는 이야기지요.
이러한 변화는 올해 초부터 시행된 주세의 종량세 전환으로 인해 더 폭발력을 가지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수제맥주에 부과하는 주세가 크게 낮아지면서 가격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고 이를 통해 대중화가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올해 들어 편의점이나 마트에서는 낮아진 세금을 바탕으로 만원에 3캔 혹은 4캔 수준의 다양한 가격 프로모션이 진행되면서 수제맥주의 판매가 크게 늘었고, 제품의 종류도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한국 수제 맥주가 다른 나라의 수제 맥주와 다른 점이 무엇인가요?
맥주를 구성하는 요소 중 80% 이상을 차지하는 가장 큰 원재료는 물입니다. 맥주 양조에 적합하게 경수와 연수로 정제하고 스타일에 맞게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은 세계 어느 브루어리든 같다고 할 수 있지만 한국은 기본적으로 어느 지역보다 깨끗한 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카브루는 970만 서울 시민들의 식수원이 되는 가평, 청평 지역에 브루어리가 있고 그 물을 이용해 가장 깨끗한 맥주를 양조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수제맥주의 정신에 따라 한국 각 지역의 특산물들을 이용해 새로운 맥주를 양조하는데 많은 노력을 쏟고 있습니다. 카브루의 경우 가평의 특산물인 포도, 잣을 이용해 실험적인 맥주를 양조하고 있고 일부 상업용으로 출시한 경험도 있습니다. 한국의 대부분의 브루어리들 모두 카브루와 같이 지역의 특산물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점이 그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한국 수제 맥주의 어떤 점을 개선하면 좋을 것 같나요?
이 질문에는 맥주의 품질이나 맛보다는 시스템적인 부분을 좀 더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카브루는 캔 생산을 위한 설비를 갖추면서 수출시장에 대한 도전을 계속하고 있지만, 사실 큰 규모의 수출이 일어나지는 않고 있습니다. 저희가 얻은 중요한 교훈은 수출 시장을 의미있게 개척하기에 아직 카브루 제품은 가격경쟁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한 경험으로 볼 때, 카브루를 비롯한 한국 수제맥주들이 세계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크게 2가지의 선결조건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습니다. 첫번째는 자동화된 설비공장을 갖추어 세계시장에서 경쟁할 만한 원가경쟁력을 갖추는 일입니다. 두번째로는 한국시장의 수제맥주 시장이 좀 더 성장하고 글로벌에서도 한국 수제맥주에 대한 인식을 어느정도 자리잡아 브랜드력을 확보함으로써, 해외 바이어들이 수입하고 싶은 제품으로 성장하는 것입니다.
물론 앞으로도 수출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습니다만, 카브루를 포함한 우리나라 수제맥주의 본격적이고 의미있는 수출이 이루어지는 시기는 이러한 두 가지 조건이 어느정도 충족되는 2~3년 후는 되어야 할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다른 나라들도 즐길 수 있는 한국만의 독창적인 수제 맥주 문화를 개발할 수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요?
한국에서 발달해 있는 음주 문화 중 하나가 ‘반주’입니다. 흔히 파스타에 와인을 곁들이는 것처럼 한국에서는 삼겹살에 소주, 치킨에 맥주와 같은 문화가 있습니다. 한국의 수제맥주와 함께 양념갈비와 같이 간이 강한 음식을 즐기실 때에는 I.P.A계열의 수제맥주, 간이 약한 불고기와 같은 음식과 함께 하실 때에는 필스너 계열의 맥주를 함께 곁들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한국의 수제맥주와 한국음식이라면 멀리서도 충분히 한국의 문화를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 수제 맥주가 한국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 같나요?
한국 수제맥주 시장이 성장하면서 소비자들에게 맥주의 ‘다양성’을 전파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에서는 그 동안 대기업에서 만든 ‘라거’ 위주의 맥주 소비를 해왔고, 음식과 함께 먹는 부수적인 알콜음료이거나 ‘소주’와 함께 섞어 마시는(쏘맥)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수제맥주 회사들에서 IPA, 페일에일, 스타우트 등 매우 다양한 스타일의 맥주를 생산하고 있고,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맥주들도 다양하게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성은 소비자들에게 본인의 취향에 따라 골라서 먹을 수 있는 즐거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제맥주를 찾는 사람이 늘고, 다양한 맥주에 대한 니즈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맥주를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탭룸형 펍’, 현장에서 직접 양조한 신선한 맥주를 그 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브루펍’이 등장하게 됐습니다. 또한 오로지 맥주를 즐기기 위한 ‘맥주 페스티벌’이 열리는 등 식문화를 넘어 공연문화까지도 바뀌게 되었고, 맥주를 그저 술로 마시던 시대에서 맥주를 ‘즐기는’ 시대로 넘어가는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수제 맥주의 시장이 5-10년 후에는 어떻게 바뀌어 있을 것 같나요?
앞서 말씀드렸듯 저희는 당분간 소매시장이 수제맥주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이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세법의 완화로 가격 경쟁력을 갖춘 다양한 수제맥주가 더 많이 등장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수제맥주 시장이 향후 5년간 보수적으로 잡아도 최소 연 평균 30%씩은 성장할 수 있으리라 판단합니다. 이렇게 성장할 경우 수제맥주는 2024년에 약 3000억원의 시장을 형성하며 전체 맥주시장의 6~7%를 차지할 것입니다. 미국의 경우 2018년 기준 수제맥주가 전체시장의 24%를 차지했다는 BA의 통계를 볼 때, 사실 5년 후 6~7%는 상당히 보수적인 전망이며, 제 개인적으로는 10% 가까이 까지는 충분히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봅니다.
새로운 맥주를 개발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을 해 주실 수 있나요?
제품의 유형(캔/케그) 따라 조금씩 다르기도 하고, 또 제품마다도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트렌드 파악을 통한 신규 맥주 유형&컨셉 결정 -> 홈브루잉 -> 테스트 -> 전사 테스트 -> 대량양조 및 출시 의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다른 회사와 콜라보를 하는 경우 기획단계부터 맥주의 타입과 컨셉 등을 논의하고, 보통은 회사의 BM파트 담당자들과의 논의를 통해 결정됩니다. 홈브루잉과 테스트(시음)은 피드백 과정에 따라 여러 번이 되기도 합니다. 이후 KEG맥주의 경우 서울에 있는 브루펍을 통해 출시, 시장의 반응을 살핀 후 반응이 좋은 맥주는 가평의 공장에서 대량양조에 들어가게 되며 CAN의 경우 유통 채널 관계자에 입점 제안/시음 등의 과정을 통해 판매처와 초도물량을 결정한후 대량양조에 들어갑니다.
지금 성장하는 수제 맥주의 시장에서 자신의 브루어리의 특별한 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카브루는 대한민국 수제맥주의 태동과 함께 시작된 1세대 수제맥주 브루어리입니다. 또한 2015년부터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규모와 시스템을 갖춘 수제맥주회사이기도 합니다. KEG맥주와 CAN맥주 생산이 가능한 2개의 브루어리를 건설한 것 외에도 업계 최초 HACCP 인증 취득, 전국단위 콜드체인 물류망 구축, QC(Quality Control) 시스템 운영 등 제품 품질 측면에서도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제품 측면에서는 ‘다양성’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현재도 20여개의 제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사업 초창기부터 10여개의 맥주 라인업을 보유하는 등 수제맥주의 ‘다양성’을 핵심 아이덴티티로 여겨왔습니다. 카브루의 로고인 ‘구미호’는 한국에서 변신의 귀재로 여겨지는 신비로운 동물인데, 이렇듯 창의적이고 새로운 맥주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의미를 담았죠. 또한 그만큼 R&D에도 적극적인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전담부서 인력과 서울의 미니 브루어리를 설립해 변화하는 맥주 트렌드와 시즌에 따라 발빠르게 다양한 맥주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갖추었습니다.
지금까지 이 브루어리에서 만든 맥주 중에 개인적으로 무엇을 제일 좋아하시나요?
카브루의 맥주는 저에게는 모두 멋진 맥주들이기 때문에 한 가지를 꼽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다만 맥주 사업을 시작한 후에는 스스로 진짜 좋아하는 맛이나 스타일이 무엇인지 찾아보려고 하는데 그게 어느새 재미있는 경험이 되었습니다. 그런 과정을 통해 나는 맥주의 쌉싸름한 맛을 좋아하지만 끝에 쓴 맛이 오래 남는 것은 별로이고, 밀맥주보다는 페일에일을 더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되기도 했구요.
다른 브루어리에서 만든 맥주 중에 개인적으로 무엇을 제일 좋아하시나요?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임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울산 화수브루어리의 커멀 임페리얼 포터라는 맥주가 있는데 묵직한 바디감과 깔끔한 뒷맛을 좋아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성실한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각국에 있는 수제 맥주 팬들에게 하실 말씀이 있으신가요?
‘한국의 수제맥주’는 아직 낯설겠지만, ‘유러피언 비어스타’나 ‘인터내셔널 비어컵’ 등 유수의 해외 대회에서 금메달을 수상하며 그 맛과 품질을 인정받은 맥주들이 많습니다. 저희 카브루의 ‘IPA’도 ‘2017 유러피언 비어스타’ 트래디셔널 IPA 부문에서 아시아 최초로 금상을 받기도 했죠.
저희는 앞으로도 더 맛있고 다양한 맥주를 만들어가려고 합니다. 카브루 맥주와 함께 새로운 수제맥주를 맛보는 즐거움을 경험하시길 바랍니다. 마치 K-POP을 처음 만났을 때의 충격처럼 말이죠 🙂